부동산 투자는 수익 창출의 중요한 수단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부동산을 취득하거나 매각할 때 발생하는 세금과 수수료가 많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부동산을 취득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부동산 취득세"입니다. 부동산 취득세와 계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취득세는?
취득세는 지방세로, 재산을 취득하고 등기를 할 때 부과됩니다. 2011년 지방세법 개정으로 기존의 취득세와 등록세가 합쳐졌습니다. 이제는 취득한 재산을 과세 대상으로 하며, 납세 의무자는 재산을 취득한 사람 또는 법인입니다.
취득은 돈을 주고 사거나 상속을 받거나 새로 건축하거나 간척하는 등의 행위를 말합니다. 지목/종류 변경과 개축도 취득에 해당합니다.
취득세의 세율과 물건의 가치는 지목이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해당 조항을 적용하셔야 합니다.
부동산 취득세 세율
부동산 취득세는 부동산을 취득할 때 발생하는 세금으로, 취득한 부동산의 과세표준액에 취득세율을 곱한 금액입니다. 취득세율은 부동산 구분에 따라 다르며, 주택(유상)의 경우 취득당시가액이 6억 원 이하인 경우 1%, 6억 원 초과 ~ 9억 원 이하인 경우 (주택 취득당시가액 × 2/3억 원 - 3) / 100 (소수점이하 다섯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넷째 자리까지 계산), 9억 원 초과하는 경우 3%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가 있습니다. 비교해서 확인해 보세요.
부동산계산기에서 취득세 계산을 하려면 아래와 같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 취득일자
- 취득한 부동산의 구분
- 취득한 부동산의 과세표준액
- 취득세 계산을 위해서는 취득한 부동산의 과세표준액이 필요합니다. 과세표준액은 취득한 부동산의 매매가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부동산 취득세 감면 방법
취득세 감면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적용됩니다. 만 20세 이상의 무주택자가 생애최초로 13억 원 이하의 주택을 구입할 경우, 연 소득 제한 없이 200만 원 내에서 취득세 100%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취득세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부동산 가격을 낮추거나, 취득세 감면제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감면제도는 일정 조건을 충족해야 하므로, 자세한 내용은 해당 지자체의 세무서나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최대 500만 원까지 취득세를 면제
주택 구입 시 최대 500만 원까지 취득세 면제 정책이 출산 전후의 신혼부부에게 적용됩니다. 이에 대한 개정안이 발표되었으며, 출산 자녀와 함께 거주할 목적으로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 500만원 한도 내에서 취득세를 100% 면제할 수 있습니다.
'정부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청년월세 지원사업 신청하기 2023 (0) | 2023.09.04 |
---|